애플페이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국내 현대카드와 손을 잡고
이제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현대카드와 애플은 현재 정확한 국내 출시 시기는 말을 하지 않고 있지만
국내에 서비스가 개시될 것은 이미 확정된듯 싶다.
이렇게 애플페이가 등장함에 따라 가장 긴장한 업체는 바로 삼성페이다.
지금까지 갤럭시에서 가장 애플과 차별화된 서비스 중 하나가 삼성페이였기 때문이다.
최근엔 삼성페이에서 디지털 홈키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도어락에 스마트폰이
접근만 해도 자동으로 열리게 돼있다. 카드키나 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공교롭게도 삼성페이가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자마자 애플의 국내 상륙이 시작된 점이다.
여러 전문가들은 애플페이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각자 의견이 나뉜다.
애플페이는 근거리 무선통신(NFT) 결제 방식을 지원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카드 가맹점은 마그네틱보안전송(MST)이나 집적회로 스마트카드(IC)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삼성입장에서 그나마 다행인것은 아직 국내는 NFC 단말기 보급률이 채 10% 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애플페이 서비스가 본격화 되더라도 일부 NFC단말기를 보유한 대형마트와 스타벅스,
그리고 국내 메이저 편의점등 위주로 서비스 이용이 전망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애플의 고정 이용층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상륙 초기에
만일 큰 호응을 얻게 된다면 또 상황은 달라지게 된다.
아무래도 젊은 층에서는 애플페이를 써보고 싶다는 반응도 많다
다만, 국내카드사들이 유로페이,비자,마스터 3대 신용카드사에 내는 수수료에
애플페이 수수료 0.1%까지 더 추가로 부담하게 되기 때문에 마진이 남는 구조가 어렵다고
보는게 다수의 전문가 의견이다.
애플의 네임밸류에 따른 파급효과와 국내 카드사의 협업은 당분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또, 애플페이가 상륙한다는 얘기에 삼성전자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이다.
갤럭시는 삼성전자의 주력 모델 중 하나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앞서 말씀드린 삼성페이는 갤럭시 스마트폰의 아주 차별화된 서비스이기 때문인데
아마도 간접적으로 애플페이를 견제할 것이라는 의견들이 많다.
삼성페이는 계속해서 신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고, 최근엔 운전면허증을 삼성페이에 등록해
모바일로 면허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개시했고, 티켓, 탑승권등을 삼성페이에 탑재하는
기능도 시작했다.
애플페이가 확실하게 자리 잡기 전에 삼성페이로서는 부동의 시장 위치를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같이 보면 돈이 되는 글▼